자정.

#하나.

예전에 ‘킹덤’ 김은희 작가를 인터뷰하면서 해가 완전히 지고 나서야 글을 쓴다는 걸 봤다.

‘어쿠스틱 라이프’의 김민설 씨가 웹툰에서 밤 12시부터 그림을 그리기 시작하면 좋다고 말하는 것도 봤다.

아티스트는 확실히 다르다고 들었는데…나도 그렇다.

밤 11시부터 새벽 3시까지 미친 필력(?)이 나온다.

(죄송합니다, 당신은 당신 자신의 작품을 쓰고 있습니다 …)

그러나 나의 가장 친한 친구는 나를 매우 사랑하고, 그는 내가 옆에 없으면 잠을 잘 수 없기 때문에 내가 야근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며칠 전에 글을 써서 돈을 벌고 싶다고(?) 물었으니 야근할 때 짜증내지 마세요.

하지만, 여전히 밋밋합니다.

아침에 정신없이 글을 쓰는 방법…있나요?

온라인 소설 작가 이한산(현 박사)씨는 아침에 출근하기 전에 두 시간씩 글을 쓴다고 하는데… 나도 빨리 그 수준에 도달하고 싶다.

#2.

나는 내 딸에게 Eric Benjamin을 연기했습니다.

<让我慢慢放下>.

가사 내용은 모르겠지만 그냥 소리가 좋아서 딸아이에게 보여줬더니 너무 좋아한다고 하네요.

오늘 아침에는 에릭 벤자민의 노래를 불렀습니다.

.

살벌한 제목 때문에 미성년자에게 들려도 될지 조금 걱정이 되었지만 그래도 음질도 좋고 딸아이가 잘 들어줘서 들어달라고 했습니다.

그는 나에게 모든 것을 말하고 나에게 제목을 주었다.

당신은 잔인합니까?

딸이 말했다: 아…그래서 택시 타는 척 하고 도망갔구나. 내가 의미하는 바를 말하면 가사에 있습니다.

한국 노래 가사도 안 들려요. 소리가 좋으면 들어보세요. 가사가 아무리 좋아도 소리가 나쁘면 안 들어요.

어렸을 때 딸을 가르쳤는데(아기가 학원 가는 게 미안해서 집에서 친한 친구들과 가르치고 있다) 지금은 격차가 너무 커서 딸에게 가르쳐야 한다.

중학교 1학년은 시험이 없습니다.

2학년 때 시험이 시작되니 사립학교를 다닌 적이 없는 아이들도 시작했다고 한다.

하지만 돈도 돈이니 우리 아이들이 학원 다니지 말고 열심히 공부했으면 좋겠습니다.

이것은 모든 독자의 꿈이겠죠?

꿈이 이루어지다!
(응? 갑자기?)

잊어버려, 딸 자랑 그만해…

#삼.

온라인 소설 작가의 첫 번째 책은 “홍청이”였습니다.

온라인 소설인 줄도 모르고 소설을 사서 읽고 또 읽었다.

그러다가 네이버 웹소설을 진지하게 읽게 만든 작가는 ‘이재익’이라는 작가였다.

처음에는 아무것도 몰라서 진진소설 무료 연재물을 봤는데 너무 재미있어서 전편을 다 읽었다.

그때는 쿠키를 굽는 방법도 몰라서 값을 치르느라 고생했던 기억이 납니다.

다음은 ‘정지인’ 작가다.

난 정말 좋아<7 Day Contract>. ……

다른 작가들도 내 작품을 읽었으면 하는 작은 바람이 있다.

그동안 ‘보이는 사랑’은 예선 전날 보도가 돼 많이 힘들었다.

(에로티시즘 때문이 아니라 직접 제목을 쓴다고 하던데 다른 소설들도 이런 제목을 쓰는 걸 봤는데 왜 내꺼만.. 이해가 안간다.

)

그 시점에서 한 작가가 긴 이야기가 담긴 이메일을 보냈습니다.

신고와 탈의 방법을 알려주시고 위로해주시고 제 글도 다 읽어주셨다고 해서 그날 화장실에서 몰래 울었습니다.

저 또한 다른 작가들에게 힘과 위로의 원천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물론 독자들을 위한 것입니다^^

영원히 감사합니다.

마치 소설을 쓰듯, 논스톱으로 이야기를 하다니… 내용이 길어졌다.

지루하셨다면 죄송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다시 업로드 하겠습니다.

(포스팅과 글쓰기를 중단하십시오.)


이것은 나의 아침입니다.

… (무슨말이죠? <-- 우리 아들이 아주 잘 쓰는 말.)

error: Alert: Content selection is disab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