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업과 취업에만 전념하고 싶지만 등록금, 생활비, 식비, 등록금 등 경제적 부담이 많은 만 19~24세 청년들에게 서울시가 제공하는 교통마일리지는 연간 100,000원에 도달합니다.
청년 발 밑의 대중교통비 10만원을 지급하면 서울시에서 10만원을 지원받는 셈이다.
그래서 서울에서 이 23세 청년의 교통비는 용돈 10만원 받는 방법알려드리겠습니다.

대부분의 젊은이들은 아마도 후불 교통카드를 신용카드와 직불카드처럼 사용하고 있을 것입니다.
우측 상단 사진을 클릭하시면 신청페이지로 바로 이동하니 꼭 클릭해주세요!
클릭 후 1분 이내에 잔액을 입력하면 10만원의 수당을 지급하라는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다음은 청소년의 티머니 교통카드 이용 신청 페이지입니다.
바로 위의 사진을 클릭하고 기본정보를 1분 이내에 입력하면 10만원의 수당을 지급받게 됩니다.
등록 가능한 교통카드와 등록 불가능한 교통카드
- 등록 가능한 교통카드
■ 삼성카드/ 신한카드/ 우리카드/ 하나카드/ 현대카드/ KB국민카드/ IBK기업은행 BC카드/ 하나BC카드/ BC바로카드
– 우리카드 사용자는 BC카드-위를 선택해주세요.
■ 티머니 교통카드
– 삼성페이, 모바일 티머니, 티머니 플레이트 카드(*101번 카드로 시작) - 미등록 교통카드
■ 아이폰 이용자를 위한 티머니페이 카드번호
■ 티머니 및 기타 선불 모바일교통카드
– 삼성페이 교통카드는 캐시비 발급 등록이 불가능합니다.
– 카드 번호 1040으로 시작
– 카카오 모바일 교통카드, 레일플러스 선불교통카드
■ 롯데카드/ NH농협카드/ 카카오/ 토스 (아래 카드 등록 시 보조금이 지급되지 않습니다.
)
■ 비씨카드
– 카카오페이, SC제일은행, NH농협카드(BC), 새마을금고, 우체국 등 “등록가능한 교통카드”로 지정되지 않은 카드
사업개요
■ 신청대상 : 신청일(3.28~5.31) 현재 서울시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만 19~24세의 청년
■ 신청기간 : 23. 3. 38 ~ 23. 5.31 수요일 17:00
■ 펀딩 금액: 등록된 교통경비원 이용 금액의 20%, 연 10만원 한도
■ 지불 기간: 상·하반기 연 2회 최대 10만원 지원
– 상반기 : (7월 23일 예정), 2023년 1.1~6.30 사용량
– 하반기 : (1월 24일 예정), 2023년 7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이용
■ 결제방법 : 교통마일리지를 서울교통카드로 결제
– (선불) : T마일
– (후불) : BC, 삼성, 신한, 우리, 하나, 현대, KB국민카드 포인트
■ 신청방법: 모든 청소년 정보 홈페이지 온라인 신청
■ 제외대상 : 23년간 아래 사업 참여 및 보조금 지급
– 고용노동부 국민고용지원제도, 서울청년수당, 서울임산부 교통비 지원사업
주의
- 본인 명의의 교통카드(가족카드 제외)만 마일리지 적립이 가능합니다.
- 카드사 정보가 잘못 입력된 경우 마일리지 적립이 불가합니다.
아시아나카드와 아시아나BC카드는 발급사가 다릅니다.
카드 확인 후 카드 앞뒷면에 BC로고가 있으면 아시아나 BC카드이며, 카드사 정보 선택 시 BC카드 신청을 선택합니다. - 우리카드 이용자는 BC카드-우리카드를 통해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 마일리지 지급 전 신용카드사에서 회원 탈퇴 시 마일리지가 부과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참고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만 19~24세 청소년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이동권을 확보하기 위해 서울시가 제안하는 청소년 복지정책을 시행하는 것은 100,000원에 최대 100km의 교통비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연간. 지급 대상인 청년들은 10만원 지원금을 하루빨리 신청해주세요!